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든 글 보기90

화려하고 우아하게 생긴 나비고기에 대해 알아보자 나비고기란? 농어목에 속하는 나비고기(Butterfly fish)는 전 세계적으로 120여 종이 있습니다. 이들은 작고 납작한 체형에 주둥이가 앞으로 튀어나와 있으며, 밝고 화려한 색의 가슴지느러미를 나비 날개처럼 펼치고 다닙니다. 나비고기는 열대와 아열대 바다의 산호초 지대가 주 서식지입니다. 비록 체형은 작지만 자신들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침입자를 맹렬한 기세로 쫓아냅니다. 나비고기 중 일부는 꼬리 부분에 눈 모양의 점이 있습니다. 포식자가 나비고기를 공격할 때 이 점 때문에 머리가 어느 쪽인지 혼란에 빠지곤 하는데, 이 틈에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즉, 일부의 나비고기는 꼬리 부분에 눈 모양의 검은 점이 있어 포식자를 혼란에 빠트리는 것입니다. 나비고기는 화려한 외모로 애완용 물고기로도 인기가.. 2022. 7. 30.
서민 음식의 친구, 꽁치에 대해 알아보자 꽁치의 특성과 유래 꽁치는 예부터 우리나라 근해에서 잡혔던 친숙한 어종입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통조림으로 가공되어 서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지금이야 참치에게 통조림 소비량 1위를 빼앗겼지만 아직도 통조림 하면 꽁치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정약용의 '아언각비'에는 아가미 근처에 침을 놓은 듯한 구멍이 있어 구멍 '공' 자에 물고기를 뜻하는 '치' 자가 붙은 '공치'가 등장합니다. 지금의 꽁치라는 이름은 공치가 된소리화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꽁치는 옛 문헌에 '추도어', '추광어', '청도어' 등으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는 "꽁치는 서리가 내려야 제맛이 난다"라는 말이 있듯이 가을이 제철이며, 턱이 새의 부리 모양으로 뾰족하고, 몸과 입이 칼처럼 길어서 붙인 이름입니다. 전통 조업법으.. 2022. 7. 23.
못생겨서 버림 받았다던 물고기, 꼼치에 대해 알아보자 꼼치란? 쏨뱅이목 꼼치과의 꼼치는 사투리인 '물메기' 또는 '곰치'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남해안에서는 커다란 머리와 길고 넓적한 몸뚱이가 메기를 닮아 바다에 사는 메기라 해서 물메기라 하고, 강원도 지역에서는 둔해 보이는 몸짓이 물에 사는 곰 같아 물곰 또는 곰치라 합니다. 꼼치는 생김새가 흉한 데다 모양새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손으로 쥐어 볼라치면 흐물흐물해서 제대로 잡을 수가 없습니다. 생김새가 이렇다 보니 가지런히 정렬된 비늘로 기품 있는 물고기를 선호해온 선조들에게 제대로 대접받지 못했습니다. '자산어보'에는 바다메기라 하여 해점어라 적고 속명으로 '혼미할 미(迷)' 자에 '역할 역(役)' 자를 써서 '미역어(迷役魚)'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 물고기를 보며 "무엇에 쓰는 물고기인가?.. 2022. 7. 19.
상어를 잡아먹는 물고기가 있다? 그루퍼 물고기 그루퍼(Grouper)는 온대와 아열대 해역에서 발견되는 농어목 바리과에 속하는 어류입니다. 몸길이는 약 12cm로 머리와 눈이 큰 편입니다. 주로 구이, 튀김, 찜 등의 먹거리로 이용됩니다. 그루퍼는 영어명에서 알 수 있듯이 무리(Group)를 이룹니다. 우리 이름 바리는 '바리바리' 많다는 데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다금바리 : 바리과 어류 중 최고급 종으로 제주도 바다에서 간간히 잡히는 희귀종입니다. 몸길이는 1미터 정도이며 등은 자줏빛을 띤 담청색이고, 배는 은백색입니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 검은색 반점이 있습니다. 주로 100~140미터 수심의 모래가 섞인 펄 바닥이나 암초 지역에 서식하며, 한 곳에 자리 잡으면 이동을 거의 하지 않아 생태학적 정보가 부족합니다. 다금바리는 '다.. 2022. 7. 17.
이순신 장군님이 좋아하셨던 군평선이(딱돔)에 대해 알아보자 군평선이는 어떤 물고기일까? 군평선이는 농어목 하스돔과의 물고기입니다. 이 물고기 이름의 유래는 한반도 연안에 서식하며 임진왜란 때 조선 수군(軍)의 관기였던 '평선이'가 이순신 장군께 대접하였고 장군이 맛있게 먹었던 고기라 하여 붙은 이름입니다. 여수와 고흥이 주산지로 전남에서는 흔히 '딱돔', '샛서방 고기', '금풍생이'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잔가시가 없어 발라먹기 쉬운 생선이긴 하나, 원체 뼈가 단단하고 살집도 많지는 않아서 구워 먹을 때 손으로 들고 먹어야 제대로 먹은 느낌이 난다고 합니다. 바다생물 이름 중에는 사람 이름에서 따온 것이 더러 있습니다. 명천군(함경북도) 태 씨 어부가 잡아 왔다는 '명태', 김 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양식을 했다는 '김', 임연수라는 어부가 잘 잡았다는 '임.. 2022. 7. 11.
전복을 먹는 물고기가 있다? ,전복치(괴도라치)에 대해 알아보자. 생김새부터 이상한 물고기, 괴도라치 농어목 장갱이과에 속하는 어류인 괴도라치는 툭 불거진 눈, 뭉텅하고 두툼한 입술, 머리·뺨·턱 할 것 없이 온몸에 촉수처럼 튀어나온 돌기까지 그렇게 호감 가는 모양새는 아닙니다. 이러한 모습이 괴물처럼 보여서인지 괴도라치란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험상궃은 모양새와 달리 성격이 온순하고 맛이 좋기 때문에 횟감으로 고급 어종에 속하는 편입니다. 괴도라치는 전복을 주로 잡아먹는다고 해서 전복치라 부르기도 합니다. 괴도라치가 식용으로 인기를 끌다 보니 2015년 강원도 수산자원연구원에서 국내 최초로 괴도라치 양식 과정을 거쳐 대량 생산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전복치(괴도라치)는 한국의 연해에서 서식하며, 몸길이가 25~40cm에 가깝습니다. 얼굴이 못생기고 해괴.. 2022. 7. 7.
푸른 눈의 맛있는 고등어, 어떤 물고기일까? 고등어 이름의 유래와 특징 고등어(皐登魚)는 등이 둥글게 부풀어 오른 고기라 해서 붙인 이름입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옛 칼의 모양을 닮았다 하여 고도어로 불렀으며, '자산어보'에는 푸른 무늬가 있다 하여 벽문어로 적었습니다. 일본에서는 등 푸른 생선이란 의미로 마사바라 부르고, 중국명은 푸른 무늬가 꽃처럼 보여서인지 칭화위입니다. 고등어를 비롯한 많은 어류는 등이 짙고 어두운 색에 배 부분은 밝은 색을 띱니다. 물고기 사냥에 나선 새들이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물고기 색이 물색에 섞이고, 반대로 포식성 어류들이 수면 아래에서 올려다보았을 때는 밝은 색의 배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이를 '반대음영'이라 하는데 물 밖, 물속의 적들을 피하기 위해 위장술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등어는 성질이 급해 잡.. 2022. 7. 2.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알을 낳는 물고기는 누구일까? 개복치 개복치는 복어목 복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한 번에 3억 개 정도의 알을 낳아 바다에서 가장 많은 알을 낳는 어류입니다. 연어가 한 번에 2천 개에서 3천 개 알을 낳고, 좀 많이 낳는 축에 드는 어류들이 2,000만~6,000만 개를 낳는 것에 비하면 대단히 많은 알을 낳는 물고기로 볼 수 있습니다. 개복치가 알을 많이 낳는 것은 알들이 성체로 자랄 확률이 낳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종족보존을 위해 일단 많이 낳고 보자는 식으로 진화를 한 것이 아닐까 추측이 됩니다. 만약 알의 부화율이 높다면 전 세계 바다는 개복치로 뒤덮이고 말겠지만,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러하지는 않습니다. 어미 개복치는 자기가 낳은 알과 부화한 새끼를 돌보지 않습니다. 또한 움직임이 둔하고 성격마저 유순해 치어기뿐 아니라 270kg .. 2022. 6. 29.
갈치의 효능, 종류, 요리, 속담 / 갈치에 대해 알아보자. 갈치 : "10월 갈치는 돼지 삼겹살보다 낫고, 은빛 비늘은 황소 값보다 높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어류의 맛과 영양을 육지의 고기와 비교한 속담인데, 그만큼 갈치의 맛과 영양이 뛰어나다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갈치는 체형이 좌우로 납작하고 몸은 꼬리로 갈수록 길고 좋아집니다. 생긴 몸꼴이 칼 같이 생겨 '칼치' 또는 '도어'라고 불립니다. 그런데 '칼'의 고어가 '갈'이니 표준어인 갈치로 불리든 방언인 '칼치'로 불리든 별 이상할 것은 없습니다. 갈치의 영어 이름은 갈치의 꼬리 부분이 사람의 머리카락과 비슷하여 '헤어 테일(Hair Tail)', 또는 칼이나 단검 따위의 칼집 모양처럼 보여 '스캐버드 테일(Scabbard Tail)'입니다. 일본 이름으로는 큰 칼 모양이라는 '다치우오'이.. 2022. 6. 26.
가자미의 특징과 다양한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 가자미 : 가자미는 같은 가자미목에 속하는 넙치와는 사촌 간입니다. 겉모습이 닮은 데다 맛 또한 비슷하여 넙치와 가자미에 관한 여러 이야기들이 전해 내려옵니다. 넙치가 본격적으로 양식되기 전에 가자미를 넙치로 속여 파는 경우가 있었는데, 넙치가 대량 양식되어 대중화되자 오히려 가자미로 둔갑하곤 합니다. 횟감으로 가자미가 대우받는 가장 큰 이유는 가자미는 양식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넙치는 1년 6개월 정도면 상품가치가 있을 정도로 성장하지만, 가자미는 3~4년이나 걸려 수지를 맞추기 어렵습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랍스터로 잘 알려진 닭새우도 성체가 되기까지 7~8년이나 걸리므로 양식할 엄두를 못 냅니다. 가자미와 넙치 맛을 두고 "봄 도다리, 가을 전어", "3월 광어는 개도 안 먹는다"는 속담이 전해지고.. 2022. 6. 22.
가오리 음식, 종류, 서식지, 정보 가오리는 연골어류 홍어목에 속하는 어류의 총칭입니다. 몸꼴은 넓고 납작하며 꼬리지느러미는 작거나 없습니다. 가오리란 이름은 가올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됩니다. '자산어보'에는 분어에 속하는 어류의 속명을 넓고 큰 물고기라 해서 '넓을 홍(洪)'자를 써서 홍어(洪魚)로 기록했습니다. 현재의 분류학상 홍어목은 전기가오리아목과 홍어아목으로 나뉩니다. 전기가오리아목에는 전기가오리과만 있지만, 홍어아목에는 가래상어과, 가오리과, 목탁가오리과, 색가오리과, 매가오리과, 쥐가오리과의 여섯 과가 있습니다. 노랑가오리 : 몸이 노란빛이나 붉은색을 띱니다. 영어권에서도 몸 색깔을 뜻하는 이름으로 'Red sting ray'라고 합니다. 노랑가오리는 위협을 느끼면 등지느러미가 퇴화하여 변한 꼬리 가시를 들어 올려 상대를 .. 2022. 6. 18.
세계에서 가장 빠른 물고기는 어떤 생물일까? 정답은 돛** 돛새치의 지리적 범위 인도-태평양 돛새치(Istiophorus platypterus)는 전 세계 해양의 온대와 열대 수역에서 발견됩니다. 북태평양 서부의 북위 45도에서 50도 사이, 북태평양 동부의 북위 35도에서 40도 사이, 남태평양 동부의 북위 35도에서 남태평양 동부의 북위 35도 부근에 특히 많이 분포합니다. 인도양과 인도양 동부에서는 각각 45도에서 35도 사이입니다. 이 종은 기본적으로 이 위도 지역의 해안 지역을 따라 발견되지만, 이 해양의 중앙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돛새치의 서식지 인도-태평양 돛새치(Indo-Pacific sailfish)는 바다 표면 근처의 혼합층과 열전선 사이에서 성체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는 해양 물고기입니다. 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바다 표면 근처에서 .. 2022. 6. 15.
익숙하지만 신기한 생명체, 보름달물해파리에 대해 알아보자 물해파리의 지리적 범위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는 4 대양 중 3 대양(북극을 제외한 모든 해양)과 기타 해수 지역을 포함하는 세계적인 생물입니다. 분포 지역은 특히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거의 모든 해안 지역과 유라시아(최북단 해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 그린란드 남부 그리고 호주의 모든 해안 지역을 포함합니다. 마다가스카르 주변 해역에 서식하고 있지만,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 서식하고 있지 않습니다. 물해파리의 서식지 달 해파리의 서식지는 해양 연안 바다와 섭씨 6도에서 19도의 따뜻한 열대 수역을 포함합니다. 이 해파리는 소금 함량이 0.6%에 달하는 물에서 살 수 있습니다. 소금 함량과 수온은 모양, 크기 및 생식 전략에 영향을 미칩니다. 온도가 17.5도씨 이상이고 염도가 3.. 2022. 6. 10.
흥부가 다리를 고쳐주었다는 제비에 대해 알아보자 제비의 지리적 범위 제비는 호주와 남극을 제외한 모든 생물지리학적 지역에서 자생합니다. 제비의 번식 범위는 북아메리카, 북유럽, 북 중앙아시아, 북아프리카, 중동, 중국 남부, 일본을 포함합니다. 남아메리카, 남아시아, 인도네시아, 미크로네시아에서 겨울을 납니다. 제비의 서식지 제비는 적응력이 매우 좋은 새이며, 먹이를 구할 수 있는 개방된 지역, 수원지, 그리고 은신처가 있는 암초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둥지를 틀 수 있습니다. 농경지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개방된 서식지를 찾으며, 헛간이나 다른 건물에서 흔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그들은 또한 다리, 오래된 집들의 처마, 그리고 보트 부두, 바위 동굴 그리고 심지어 느리게 움직이는 기차에 둥지를 지을 것입니다. 이동하는 동안, 그들은 종종 물 근처나 산등.. 2022. 6. 7.
지구상에서 가장 큰 동물은 바로? 대왕XX 대왕고래(흰 수염고래)의 지리적 범위 흰긴수염고래는 열대지방에서부터 극지방의 유빙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모든 바다에서 발견됩니다. 대왕고래의 서식지 흰긴수염고래는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대양(외양)에 삽니다. 대왕고래의 특징, 생김새 흰긴수염고래는 슬레이트 색에서 회색빛 푸른색을 띠며, 특히 등과 어깨에 밝은 반점이 있습니다. 아랫부분은 종종 미생물로 덮여 있고, 배에 노란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흰 긴 수염고래는 간혹 외국에서 "술푸르바텀"이라고 불립니다. 등지느러미는 약 35cm 정도로 짧습니다. 윗턱이 가장 넓고, 주둥이 가장 뭉툭합니다. 턱에서 배꼽 바로 너머까지 이어지는 50~90개의 목구멍 홈이 있습니다. 흰긴수염고래는 지구 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동물입니다. 수컷의 평균 머리부터 몸까지 .. 2022. 6. 5.
반응형